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의 새마을운동 (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Saemaul Movement)

by winner4you 2025. 4. 26.

대한민국의 새마을운동은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대통령으로 인해서 크게 발전했는데 생존하는 새마을운동의 역사라고 할 수 있는 김기명 선생님을  알립니다.

김기명선생님 보기 .... 새마을운동 자료관 설치하시며 새마을울동 자료들을 설명하시는 모습

새마을운동 자료들을 설명하는 김기명선생님

새마을운동의 시작과 발전

새마을운동은 1970년 대한민국에서 시작된 농촌 개발 운동으로, 당시 경제 성장과 도시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농촌 지역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되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이 "잘 살아보세"라는 구호 아래 농촌의 자립과 발전을 목표로 삼아 시작한 이 운동은 이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세계적으로도 확산되었습니다.

1. 새마을운동의 태동 (1970년대)

1970년 4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이 전국 지방장관 회의에서 "새마을 가꾸기"를 처음 언급하며 농촌 개발 정책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정부가 시멘트, 철근 등 건설 자재를 지원하여 마을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이 중심이었습니다.

1972년부터는 단순한 환경 개선을 넘어 농촌 경제 활성화주민 자립을 목표로 하는 농촌 새마을운동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후 공장 새마을운동(1974년), 도시 새마을운동(1976년) 등으로 확장되며 전국적인 범국민 운동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박정희 대통령은 먹을 것이 없어서 굶는 국민들을 위해서 진정으로 새마을운동을 발전시켰습니다.

한국의 산업발전을 위해 독일에 원조를 요청했으나 독일 국회에서 반대하는 바람에 원조를 얻을 수 없자 직접 독일을 방문하였고 독일 대통령 뤼브케를 양아버지로 삼으며 친분을 과시했고 당시에 외화벌이를 위해 파견된 간호사와 광부들을 방문하고 직접 광부옷을 입고 광부들이 일하는 땅속에 들어가서 일하는 광부들을 만나서 독일 대통령을 감동시키고 결국 국회 위원들을 설득하여 원조를 얻어냈다는 박대통령의 역사적 사건이 있었습니다.

애피스드를 동영상  <-------------동영상 보기

2. 새마을운동의 확산과 변화 (1980~1990년대)

1980년대에는 박정희 대통령의 사망과 함께 새마을운동이 민간 주도형 운동으로 전환되었습니다. 하지만 권위주의적 성격이 강했던 점 때문에 일부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1990년대에는 새마을운동이 사회 공익 활동으로 방향을 전환하며, IMF 외환위기 당시 경제 살리기 운동을 전개하는 등 새로운 역할을 모색했습니다.

3. 2000년 이후의 새마을운동

2000년대 이후 새마을운동은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 개발 협력으로 확대되었습니다. 한국은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을 통해 필리핀, 몽골, 베트남, 네팔, 이디오피아 등 여러 개발도상국에 새마을운동 모델을 적용하며 국제적인 농촌 개발 모델로 자리 잡았습니다.

최근에는 환경 보호 및 지속 가능한 개발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새마을운동이 변화하고 있으며, 생명살림운동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운동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공적개발원조 통계(koica제공)

새마을운동의 의의와 평가

새마을운동은 한국의 농촌 개발과 경제 성장에 기여한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농촌 생활 환경 개선, 주민 참여 확대, 공동체 의식 강화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외교통상부 소속의 국제협력단(KOICA)에서는 새마을협회와의 공동으로 새마을운동을 개발도상국에 보급하며 관련 기술의 자원봉사단을 보내서 구체적인 농촌개발을 멈추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정부 주도의 강압적인 방식, 정치적 이용 논란 등의 비판도 존재하며, 현대 사회에서는 보다 자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새마을운동을 발전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현재 새마을운동은 국내외에서 지역사회 개발 모델로 활용되며, 한국의 발전 경험을 공유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セマウル運動の始まりと発展**  

セマウル運動は、1970年に韓国で始まった**農村開発運動**であり、経済成長と都市化によって相対的に遅れていた農村地域を改善するために推進されました。朴正熙(パク・チョンヒ)大統領が**「豊かに暮らそう」**というスローガンを掲げ、農村の自立と発展を目指して開始したこの運動は、全国的に広がりました。  

#### **1. セマウル運動の誕生 (1970年代)**  
1970年4月22日、朴正熙大統領が全国地方長官会議で**「セマウルづくり」**を初めて言及し、農村開発政策としてスタートしました。初期は政府が**セメントや鉄筋などの建設資材を支援**し、村の環境を改善する事業が中心でした。  

1972年からは単なる環境改善にとどまらず、**農村経済の活性化**と**住民の自立**を目標とした**農村セマウル運動**へと発展。さらに**工場セマウル運動(1974年)**、**都市セマウル運動(1976年)**へと拡大し、全国的な国民運動として確立されました。  

#### **2. セマウル運動の拡大と変化 (1980~1990年代)**  
1980年代には朴正熙大統領の死去に伴い、セマウル運動は**民間主導の運動**へと転換。しかし、一部では**権威主義的な性格**が強かったため批判もありました。  

1990年代には**社会公益活動**へと方向転換し、**IMF危機の際には経済再建運動**を展開するなど、新たな役割を模索しました。  

#### **3. 2000年以降のセマウル運動**  
2000年代以降、セマウル運動は国内だけでなく**国際開発協力**へと拡大。韓国は**ODA(政府開発援助)事業**を通じてフィリピン、モンゴル、ベトナムなどの開発途上国にセマウル運動モデルを適用し、**国際的な農村開発モデル**として活用されました。  

最近では、**環境保護と持続可能な開発**を強調する方向へと進化し、**生命を守る運動**などの新しい形の運動が登場しています。  

### **セマウル運動の意義と評価**  
セマウル運動は韓国の**農村開発と経済成長**に貢献した成功事例として評価されています。特に**農村の生活環境の改善**、**住民参加の拡大**、**共同体意識の強化**などの肯定的な影響をもたらしました。  

しかし、**政府主導の強制的な方式**や**政治利用の議論**といった批判も存在し、現代社会ではより**自主的で持続可能な形**でセマウル運動を進めるべきだという意見もあります。  

現在、セマウル運動は国内外で**地域社会開発モデル**として活用され、韓国の発展経験を共有する重要な役割を担っています。  

---

###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Saemaul Movement**  

The Saemaul Movement, initiated in **South Korea in 1970**, was a **rural development program** aimed at improving underdeveloped rural areas amidst rapid economic growth and urbanization. President Park Chung-hee launched the movement with the slogan **"Let’s live well,"** encouraging self-reliance and community-led development. The movement quickly spread nationwide.  

#### **1. The Birth of the Saemaul Movement (1970s)**  
On **April 22, 1970**, President Park Chung-hee first introduced **"Saemaul Revitalization"** as a rural development policy. Initially, the government provided **cement, steel,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to improve village infrastructure.  

By **1972**, the movement expanded beyond basic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shifted its focus toward **economic revitalization** and **self-sustaining communities**. Later, the movement extended to **industrial workplaces (1974)** and **urban communities (1976),** making it a nationwide civic campaign.  

#### **2.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1980s–1990s)**  
During the 1980s, after President Park’s passing, the Saemaul Movement transitioned into a **privately-led initiative**. However, its **authoritarian approach** drew some criticism.  

In the **1990s**, the movement shifted toward **public welfare activities**, including launching economic recovery efforts during the **1997 Asian Financial Crisis**.  

#### **3. The Saemaul Movement in the 21st Century**  
Since the **2000s**, the movement expanded internationally through **OD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projects. South Korea introduced Saemaul development models in countries such as **the Philippines, Mongolia, and Vietnam**, establishing it as a **global rural development framework**.  

Recently, the movement has evolved to focus o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co-friendly initiatives**, such as **"Life-Saving Movements"** advocating sustainable growth.  

### **Significance and Evaluation of the Saemaul Movement**  
The Saemaul Movement is widely recognized as a **successful case of rural development** in South Korea. It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mproving living conditions**, **expanding community participation**, and **strengthening social cohesion**.  

However, criticisms exist, including concerns over **government-driven enforcement** and **political manipulation**. Today, many suggest the movement should adopt **a more autonomous and sustainable approach** suited to modern needs.  

Currently, the **Saemaul Movement serves as a local development model** both in South Korea and internationally, sharing **Korea’s experience in economic and rural developmen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