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정체성(역사)

한국의 인물들

by winner4you 2025. 3. 11.

대한민국이 역사적인 인물들을 알아봅니다.

세종대왕과 이순신장군

 

한국의 국가명은 "고조선"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원전 2333년부터 시작된 역사가 고대의 역사로 고조선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져 왔고 이후 "조선"이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오랬동안 유지되다가 근대부터 "대한민국" 또는 "한국"이라는 이름으로 불려져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대한민국( 大韓民國) 이라는 이름은 大는 '크다'라는 뜻으로 접사이고 '民國'은 국민이 주인인 나라로 민주주의 국가를 의미합니다. 옛날에는 국가의 이름은 한글자이어야 한다는 대중적인 믿음이 있었는데 오래전부터 韓의 유래는 고조선부터입니다. 고조선 이후 삼한 (三韓)시대가 있었는데 이는 마한( 馬韓 ), 진한( 辰韓 ), 변한( 弁韓) 이었고 그후 우리나라의 이름은 韓으로 되어서 이 삼한을 계승한 대한민국( 大韓民國) 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문화를 지향하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라는 뜻이 되겠습니다.

 

한국인들이 손꼽는 인물로는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이 가장 유명합니다.

세종대왕은 1397년 태종과 원경왕후 민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418년 왕세자에 책봉된 후, 22세에 조선의 왕위에 올랐습니다. 세종대왕은 한글 창제를 비롯한 다방면에서 위대한 업적을 남긴 조선 최고의 성군으로 불립니다. 한글 창제는 한자를 몰라 억울함을 호소하지 못하는 백성들을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세종대왕은 새로운 세법 ‘공법’ 시행 전, 고관대작부터 일반 농민까지 약 17만 명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백성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군주였습니다. 세종대왕은 시대적 불만을 정확히 읽어낸 진정한 콘텐츠 리더로 평가받기도 합니다. 그는 백성의 불편과 불만을 해소하고자 노력했으며, 이러한 시대정신이 그의 업적에 담겨 있습니다. 또한 훌륭한 인재를 발굴하고 등용하는 능력도 탁월했습니다. 예를 들어, 음악적 재능이 뛰어났던 박연을 발탁하여 조선의 음악을 발전시켰습니다. 세종대왕은 민본사상의 실천자이자 문화 창조의 시범자, 자주국방의 실천자, 민족의식의 통일자로 여겨지며, 제5공화국에서는 그의 업적을 기리고자 4개년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세종대왕은 조세 제도 개편을 위해 15년간 논의를 거쳤으며, 궁궐에서 직접 농사를 지으며 새로운 농법을 검증하는 등 실사구시 정신을 실천했습니다. 외교적으로는 사대교린 정책을 통해 북방 영토를 확장하고 동북아 무역을 주도했으며, 명나라와의 교역 및 중개무역을 통해 국부를 증진시켰습니다. 2024년에는 세종대왕 탄신일인 5월 15일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조선 시대의 유명한 군인으로, 임진왜란(1592-1598) 동안 일본과의 전투에서 큰 업적을 세운 인물입니다. 그는 특히 해전에서의 뛰어난 전략과 전술로 알려져 있으며, 명량 해전과 한산도 해전 등에서의 승리가 유명합니다. 이순신 장군은 불리한 상황에서도 용감하게 싸웠고, 그의 전투 기록은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난중일기"라는 일기를 남겨 당시의 전쟁 상황을 기록하였습니다. 이순신 장군은 한국 역사에서 영웅으로 여겨지며, 그의 정신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습니다.

 

고조선 시대의 인물로는 우리민족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단군"이 있습니다.

이는 고조선(단군조선)의 초대 군주 또는 토착 고조선의 군주들이 세습했던 군주의 호칭으로 추정되는 말이며 우리나라 역사의 시조라고 합니다.

이후 여러 역사 인물들 중에서  10분야의 인물들을 소개합니다.

1. 세종대왕, 이순신

2. 이성계

3. 김구

4. 안창호

5. 유관순

6. 김정희, 김환기, 이중섭

7. 장보고, 장영실

8. 신사임당, 한용운, 이이

9. 정약용, 방정환

10. 박정희, 이병철, 정주영, 주시경, 한강

반응형